Samba란 Windows 운영체제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.
(쉽게 말해 원격 파일 공유)
Linux 기반의 SBC(Single Board Computer)인 Jetson Nano나 Raspberry Pi의 개발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필자는 Samba를 사용한다.
※ 보안을 중요시한다면 Samba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
아래는 Samba 설치 방법이다
1. Samba 설치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upgrade
sudo apt-get install samba
sudo apt-get update && upgrade는 시스템 패키지들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고 업그레이드하는 명령어이다.
보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 문서들을 검색해보기를 추천한다.
시스템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면 sudo apt-get install samba 명령어를 사용하여 samba를 설치한다.
2. Samba 패스워드 설정
sudo smbpasswd -a
Windows PC에서 Samba로 접속할 때 사용할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명령어 이다.
해당 명령어를 입력하고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설정이 완료된다.
3. 설정 정보 적용
sudo gedit /etc/samba/smb.conf
자신이 즐겨쓰는 편집기(vi, vim, nano, gedit 등)을 사용하여 /etc/samba/smb.conf 파일을 연다.
파일 맨 아래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.
[root] path = / read only = no writable = yes create mask = 0666 directory mask = 0755 |
Samba로 접속할 시 접속하는 PC에서 갖게 될 권한 등을 설정해주는 설정 정보이다.
모두 올바르게 입력하였다면 파일을 저장하고,
sudo reboot
재부팅하면 Samba 환경 셋업 완료이다.
4. Samba 접속
이제 Windows PC에서 [파일 탐색기]를 열고,
파일 경로 입력창에 \\[Samba 접속할 PC의 IP]를 입력하고 아까 설정했던 Samba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하다.
>> 만약 Samba로 접속할 PC의 IP가 192.168.0.100이라면, [파일 탐색기]의 경로 입력창에 \\192.168.0.100을 입력하면 됨.
완료!!!
댓글 및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.
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답변드리겠습니다.
'임베디드 Imbedded >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] 라즈베리파이 시스템 모니터링 (GUI 환경) - 개발 한 장 (0) | 2022.11.24 |
---|---|
[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] 화면 꺼짐 해제 xscreensaver - 개발 한 장 (0) | 2022.11.24 |
[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] 라즈베리파이 한글 입력 - 개발 한 장 (0) | 2022.11.24 |
[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] 라즈베리파이 VNC 활용 - 개발 한 장 (0) | 2022.10.09 |
[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] 라즈베리파이 고정 IP 할당 - 개발 한 장 (2) | 2022.10.06 |